치아교정 종류, 장단점, 추천 (2025)

1. 치아교정 장치 종류

치아교정장치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보자면 고정식과 가철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철길을 깐다’ 라고 알고계시는 일반적인 교정은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붙여 와이어로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와 다르게 투명교정기와 같이 꼈다뺐다할 수 있는 장치를 ‘가철식’ 교정장치라고 부릅니다.

▲ 고정식 교정장치, 가철식 교정장치

고정식 유지장치는 브라켓이 부착되어있어 심미성이 다소 떨어지나 항상 교정해주는 힘을 줄 수 있고 교정장치를 분실하는 일도 없습니다. 그러나 교정장치가 치아를 덮고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사이를 닦기가 힘들어서 충치관리가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가철식 교정장치는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강관리가 쉽고 장치가 투명해서 심미적인 장점이 있지만 장치를 착용할때만 교정하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얼마나 오래 끼고 있느냐에 따라 교정기간이 좌우됩니다.

▲ 세라믹 브라켓, 자가결찰 브라켓

고정식 교정장치는 조금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 있습니다.
일반 브라켓은 교정와이어를 브라켓에 얇은 철사나 고무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입니다. 와이어와 장치 사이에 마찰력이 크다보니 치아이동속도가 다소 느린편이고 와이러를 브라켓에 하나하나 고정시켜야 하다보니 장착시간이 오래걸리는 편입니다.

반면에 자가결찰 브라켓은 뚜껑을 여닫는 형태의 장치로 와이어를 넣고 뚜껑을 닫아 고정시키기 때문에 장착 및 교체시간도 짧고 마찰력이 적어 치아이동속도가 일반 브라켓보다 빠른편입니다. 인지도가 높은 clippy-c 장치도 ‘자가결찰’방식의 교정장치입니다.

▲ 순측교정, 설측교정

순측은 치아 바깥쪽에 교정장치를 붙이는 방식이고 설측은 치아와 혀가 맞닿는 안쪽에 교정장치를 부착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순측으로 교정장치를 부착할 경우 육안으로 보이기도 하고 입술이 조금 돌출되어 보이지만 설측교정은 교정장치가 안쪽에 붙어있기 때문에 고정식 교정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설측교정의 경우 적응 전까지 발음에 문제가 생기는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순측교정보다 기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기도 하고 비용이 비싼 편이라 장단점이 확실하게 나뉘는 교정방법입니다.

▲ 전체교정, 부분교정

부분교정은 앞니 혹은 어금니 일부에만 장치를 착용하여 교정하는 방식입니다. 장치크기가 작아서 이물감이 덜하고 심미적이지만, 크기가 작은만큼 기능이 적고 정교한 움직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벌어진 공간을 닫는 공간폐쇄시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2. 교정장치 선택기준

교정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상담전 아래의 항목들을 생각해보고 담당 의사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1. 직업특성상 교정장치가 보이면 안되는 경우
2. 거리가 멀거나 바빠서 병원에 자주 오기 힘든경우
3. 충치가 잘생기거나 양치가 어려운 경우
4. 발음이 중요한 경우
5. 구내염이 잘 생기고, 입안이 잘 허는 경우
6. 군대, 유학, 결혼 등으로 시간적 제약이 있는경우

교정장치는 선택의 문제일뿐 장치종류에 따라 치료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게 최선의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 합니다. 주로 심미성, 편리함, 내원주기가 기준이되며, 교정치료의 결과는 장치종류가 아닌 의사의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꼭 인지하시면 좋겠습니다.

이 글은 연세굿데이치과 김근화 교정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시력교정술 고민,
모두닥 커뮤니티에서 해결하기 >

모두닥 인기 블로그
치과 의료정보 최신글